한국투자공사(KIC)와 국민연금은 애환이 엇갈렸다.
그 이유는 실리콘밸리 은행(SVB)의 부실 때문입니다.
정리하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 자료에 따르면 KIC는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SVB의 모회사인 SVB파이낸셜 주식 20.87주(공시 당시 추정 약 462만3000달러, 당일환율), 1,000만원 가치로 신고).
이는 지난해 9월 30일 신고된 11만3561주(약 3813만2000달러, 496억5000만원)보다 82.3%(9만3474주) 줄어든 수치다.
즉, 4분기 사이에 400억원어치의 주식을 팔았다.
앞서 KIC는 미국 증시가 상승세를 보인 2021년 3분기부터 SVB파이낸셜 지분을 대폭 늘려 지난해 3월 말까지 최대 14만3520주를 보유했지만 이후 보유 지분이 점차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민연금은 지난해 9월 말 8만911주에서 지난해 12월 말 10만795주로 지분을 늘렸다고 밝혔다.
평가액은 2734만2000달러(356억2000만원)에서 2319만7000달러(302억2000만원)로 떨어졌다.
문제는 SVB파이낸셜의 주가가 지난 9일 파산 후 106.04달러까지 폭락해 지난해 말 대비 반토막이 난 뒤 거래가 중단됐다는 점이다.
여기에 국민연금은 짐승의 마음으로 ‘물타기’에 나섰지만 원금조차 되찾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다.
참고로 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가 홈페이지에 공시한 2021년 말 기준 SVB그룹의 직·위탁운용을 포함한 총 투자가치는 3624억원이다.
채권 금액은 240억원으로 주식 투자 가치를 합치면 약 3800억원에 이른다.
이처럼 KIC와 국민연금공단은 엇갈린 결과를 보이고 국민연금공단은 국민의 민원을 사들인다.
또한 국민연금의 2022년말 외국인주식투자액은 240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최저수익률은 -8.22%로 통화긴축과 통화긴축으로 인한 글로벌 금융시장 위기에 따른 영향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 전쟁이 일어났다.
또 국내주식 익스포저가 줄고 외국인 익스포저가 늘어나면서 코스피와 코스닥이 하락하는 상황도 있었다.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민연금 운용에 대한 전문지식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기금운용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전문가 자문위원단을 구성하고 있다.
현재 기금운용위원회는 공무원 6명, 보험사 대표 추천인력 12명, 전문가 2명 등 총 20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와 함께 제명된 정부와 가입자의 수장인 국민연금자문위원회를 ‘국민연금정책위원회’로 개편한다.
또 기금운용전문위원회 산하에 독립된 국민연금기금운용회사를 설립하는 방안도 추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