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07 돈되는

■ 국내 증시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국채금리 하락 속에 기술주 강세로 급등한 가운데 코스피지수는 장중 최고치를 기록한 뒤 1.26% 오른 2,462.62에 마감했다.

코스피 지수는 미 국채 수익률 하락과 달러화 약세에 따른 위험자산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1% 이상 상승했다.

4일 연속 상승세다.

외국인과 기관이 함께 순매수하면서 지수는 상승했다.

수급 추이를 보면 외국인은 3253억원, 기관은 4600억원, 개인은 7875억원 순매도했다.

선물시장에서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1,507계약과 260계약을 순매수했고, 기관은 801계약을 순매도했다.

코스피 상위 종목 대부분이 올랐다.

삼성SDI(+6.84%), SK이노베이션(+4.48%), NAVER(+4.38%), 카카오(KS:035720)(+4.26%), LG전자(+3.34%), LG화학(KS:051910) (+3.27%), SK하이닉스(KS:000660)(+2.75%), 포스코케미칼(KS:003670)(+2.40%), LG에너지솔루션(+1.67%), 삼성바이오로직스(KS:207940)(( +1.65%), 삼성전자(KS:005930)(+1.65%), 삼성물산(+1.45%), 현대모비스(+1.15%)가 상승한 반면 포스코홀딩스(-0.75%)는 하락했고 신한금융그룹은 보합권.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올랐다.

전기 및 전자(+2.20%), 서비스(+2.19%), 제조(+1.44%), 비금속 광물(+1.39%), 화학(+1.22%), 제약(+1.03%), 기계(+0.82%) ), 통신(+0.81%), 섬유의류(+0.68%), 증권(+0.53%), 보험(+0, 48%), 금융(+0.43%)이 증가한 반면 의료정밀(-1.73%) 증가했습니다.

) 및 철강 금속(-1.35%), 운송 베어링(-0.43%) 및 식음료(-0.38%)가 하락했습니다.

사진=한국거래소

이날 코스닥지수는 장중 최고가를 경신한 뒤 1.76% 오른 816.51에 마감했다.

공급과 수요를 살펴보면 개인은 3628억원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294억원, 2060억원 순매도했다.

기관은 9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보였다.

삼성SDI가 GM과의 합작공장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이차전지 관련주 강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시가총액 1위인 에코프로비엠(KQ:247540)(+19.17%)이 이틀 연속 급등하며 시가총액 20조원을 돌파했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종목의 경우 하락세가 다소 지배적이었다.

리노산업 (-8.29%), 에이치엘비 (KQ:028300) (-1.71%), 카카오게임즈 (KQ:293490) (-1.26%), JYP Ent. (-1.03%), 성일하이텍(-0.98%), CJ ENM(KQ:035760)(-0.66%), 스튜디오드래곤(-0.50%), 엘앤에프(-0.19%) 등은 하락했고, 에코프로비엠(+19.17%)은 하락했다.

), 동진쎄미켐(+4.47%), 에코프로(+3.34%), 펄어비스(+1.16%), 셀트리온헬스케어(KQ:091990)(+1.04%), 에스엠(+0.70%) 등이 올랐다.

오스템임플란트와 천보는 보합지역에 머물렀다.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올랐다.

일반 전기 및 전자(+12.84%)가 강한 성장세를 보였고, 그 뒤를 제조업(+2.91%), 금속(+2.70%), 식음료/담배(+2.28%), 운송 장비/부품(+2.13%), 화학(+2.05%), 금융(+1.80%), 반도체(+1.68%), 소프트웨어(+1.49%), 기계/장비(+1.47%), IT H/W(+1.41%), 통신장비( +1.25%), IT부품(+1.19%)이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종이/목재(-2.55%), 방송서비스(-1.44%), 통신방송서비스(-0.65%), 기타제조업(-0.47%) ), 인터넷(-0.34%) 등 일부 업종은 하락했다.

■ 미국 주식 시장

이날 뉴욕 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의회 증언을 앞두고 관망하는 분위기 속에 혼조세로 마감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지수는 0.12% 상승한 33,431.44, 나스닥지수는 0.11% 하락한 11,675.74, S&P 500 지수는 0.07% 상승한 4,048.42에 장을 마감했다.

파월 연준 의장의 이번 주 의회 증언을 앞두고 관망 분위기가 커지고 있다.

파월 의장은 7일과 8일 오전 10시 상원과 하원에 출석해 통화정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최근 연준 고위 관계자들이 인플레이션이 완화됐음에도 불구하고 추가 금리 인상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파월 의장의 발언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파월 의장의 의회 청문회는 이번 상반기 통화정책 보고로 2월 초 FOMC 정례회의 이후 세 번째 퍼블릭 논평이다.

FOMC 이후 발표된 고용, 인플레이션, 소비 지표가 모두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이 증폭될 수 있다는 우려가 시장에서 나오고 있다.

2월 10일 고용동향 보고서가 나온다는 점도 관망 심리를 고취시켰다.

The Wall Street Journal이 집계한 집계에 따르면 경제학자들은 2월에 비농업 고용이 225,000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또한, 2월 시급은 전년동기대비 4.7% 인상되어 전월의 4.4% 인상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기업 실적 보고서가 거의 완성되었습니다.

Oppenheimer에 따르면 S&P 500에 상장된 기업 중 496개가 지금까지 분기 실적을 보고했습니다.

특히 에너지, 임의 소비재 및 부동산 부문의 이익은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한 반면 통신 서비스 부문의 이익은 25.6% 감소하여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국제유가는 사우디아라비아 국제유가 급등 소식에 상승 마감했다.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4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중질유(WTI)의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0.78달러(+0.98%) 오른 80.46달러에 마감됐다.

파월 의장의 의회 증언을 하루 앞둔 이날 채권시장은 강세를 보였고 달러화는 혼조세를 보였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값은 변동이 없었다.

흥망성쇠가 혼재한 업종 이후 신재생에너지, 유틸리티, 개인/가정용품, 제약 업종이 상승한 반면 금속/광업, 화학, 임의소비재, 에너지, 자동차, 운송, 복합산업은 하락했다.

주식 측면에서 Apple(NASDAQ:AAPL)은 Goldman Sachs가 약 6년 만에 처음으로 매수 등급을 발표한 후 상승(+1.85%)했고, Snap(+9.48%)은 미국 의회가 추진하고 있다고 발표한 후 상승했습니다.

TikTok을 금지하는 법안

반면 테슬라(NASDAQ:TSLA)(-2.01%)는 최고급 모델 S와 모델 X의 가격을 인면서 하락했고, 아마존(NASDAQ:AMZN)(-1.21%)은 가격을 인하했다.

샌프란시스코, 뉴욕, 시애틀의 비용절감으로 고스토어 오프라인 무인점포 8곳을 폐쇄하기로 결정한 와중에 나왔다.

Rosetown Motors(-8.93%)는 손실 규모가 예상보다 좋다는 소식에 폭락했고, Microsoft(+0.62%), Alphabet A(+1.58%), Meta(-0.19%) 및 Nvidia(NASDAQ:NVDA)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1.41%), 넷플릭스(-1.00%) 등은 혼조의 기복을 보였다.

■ 아시아 주식 시장

주요 아시아 국가들의 주식 시장은 중국이 하락하는 가운데 일본, 대만, 홍콩이 상승하면서 상승했습니다.

이날 일본 닛케이지수는 1.11% 오른 28,237.78엔에 마감하며 강세를 이어갔다.

지난 주말 동안 국채 금리 하락 속에 뉴욕 증시에서 기술주가 급등하면서 일본 니케이 지수가 상승했습니다.

3일(현지시각)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하락한 가운데 대형 기술주가 강세를 보인 데 이어 일본 증시도 기술주 중심의 매수세를 보이고 있다.

소프트뱅크가 다음 달 말 ARM의 기업공개(IPO) 서류를 제출할 것이라는 소식에 소프트뱅크가 3% 가까이 오른 것도 일본 닛케이 지수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5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소 단독상장을 노리는 소프트뱅크의 일본 자회사인 영국 반도체 설계업체 ARM이 대표주사를 선정해 본격 상장 절차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항목별로는 Softbank Group(+2.74%), Tokyo Electron(+3.12%), Toyota Motor Corporation(+1.11%), Kansai Electric Power(+1.68%) 및 Shin-Etsu Chemical Industry(+3.13%)가 상승했습니다.

중국 증시는 보수적인 GDP 목표 발표 후 소폭 변동 없이 마감했습니다.

이날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변동성을 보이다가 0.19% 하락한 3,322.03에 거래됐다.

중국 상하이 종합 지수는 보수적인 GDP 목표 발표 후 하락했습니다.

전날 언론 보도에 따르면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 업무보고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를 5% 안팎으로 제시했다.

이는 중국이 GDP 성장 목표를 발표한 1994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다.

이와 관련해 골드만삭스는 “이번에는 중국의 성장 목표가 보수적이었다”며 “전반적으로 정부 주도의 인프라 건설이 올해 주요 성장 동력은 아닐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중국의 경제 목표는 1,200만 개 이상의 새로운 도시 일자리 창출, 도시 조사에 따른 실업률 약 5.5%, 소비자 물가 지수(CPI) 약 3% 증가로 설정되었습니다.

대만 각원 지수는 오후 장에서 0.99% 상승한 15,763.51에 거래를 마감했고, 홍콩 항셍 지수는 0.17% 상승한 20,603.19에 약한 수준으로 마감했습니다.

대만 반도체 업체 TSMC(+0.97%)가 반도체 한파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채용을 진행하고 있는 점도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4일(현지시각) TSMC는 올해 6000명 이상의 신입사원을 채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글로벌 반도체 업계의 행보와는 다른 행보로 TSMC가 경기 침체 속에서도 선전하고 있는 것은 B. Apple과 같은 고급 고객에게 최첨단 반도체를 공급합니다.

■ 주요뉴스

● 1월 미국 공장 자재 주문 1.6% 감소

●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타격을 입은 미국 제조업 부문

● 미 10~2년물 국채금리 93bp로 역전…1981년 이후 최대 상승

● 파월 연준 의장의 의회 증언을 앞두고 달러가 혼조세

●미 국채 상승…이번주 파월 의장 발언과 고용지표 주목

● 하반기 스마트폰 출하량 반등…5년간 연평균 2.6% 성장 전망

● 한·일 재계 본격화…삼성-소니 반도체 협력

● 한국과 손잡은 일본, 수출규제 완화

● 4년 꼬인 한일 경제…’회복’의 시간

● 코코아, SM엔터테인먼트 지분 확보…’인수입찰’로 하이브에 보답

● 이재용이 선택한 ‘QD디스플레이’ 내년 15% 성장 전망

● 현대·기아차 SUV 파워…미국 판매 70% 돌파

● 인플레이션은 10개월 만에 5%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 한국은행 “국채금리 하회, 기준금리 인하 기대”

● 달러 강세로 외환보유고 4개월 만에 감소

● 요동치는 환율…전문가 “1400원대 제한적 인상”

●에코프로비엠, 올해 80% 상승…공매도력 1800억원 손실

■ 주요 시간표

● 자람테크놀로지 상장 예정

● 상원에서 증언하는 Jerome Powell 연준 의장

● 등 방역규제 완화 논의 예정 나. 코로나19 확진환자 격리 의무

● Hana 26 호스 패키지 상장 예정

● 유안타스 팩 #12 공개 구독

● 미래에셋 드림팩1 공개청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