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 시세조회’부동산 시세 조회

집을 사거나 팔 때 그 매물에 대한 시세를 알아보려면 어떻게 해야 하죠? 내가 파는 집이 얼마인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부동산 시세를 조회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부르는 값과 시세는 확연히 차이가 나기 때문이죠. 특히 요즘처럼 거품이 심한 경우는요. 그래서 정확한 가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즘은 인터넷만 있으면 생각보다 쉽게 해당 매물의 시세 파악이 어렵지 않아요.

상가 시세조회'부동산 시세 조회 1

거래에 관한 기록은 모두 국토교통부에서 가지고 있습니다.

국토부 실거래가 조회 등의 키워드를 입력하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이 운영중인거 다들 아시죠? 아파트만 조회되는 거 아닌가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홈페이지 상단메뉴를 살펴보면 단독주택, 오피스텔, 상가, 토지까지 모두 정확하게 시가파악이 가능합니다.

상가 시세조회'부동산 시세 조회 2
상가 시세조회'부동산 시세 조회 3

기준년도 역시 선택 가능합니다 매매를 위해 정보를 찾는다면 당연히 최신 거래기록을 찾는 것이 옳겠죠. 하지만 만약 과거와 지금의 가격을 비교하고 싶은 분이라면 연도를 선택해 볼 수도 있습니다.

2006년 이전의 정보는 제공되지 않으므로 부동산 가격 조회 시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단순히 가격뿐만 아니라 계약일자, 계약면적, 층수, 건폐율, 용적률 등 모든 것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죠?

상가 시세조회'부동산 시세 조회 4
상가 시세조회'부동산 시세 조회 5

국토부만 제공하는 게 아닙니다 kb부동산에서도 비슷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니 편한 곳에서 정보를 얻으세요. 개인적으로 kb부동산은 국토부보다는 시각적으로 보기 쉽고 변동 추이, 혹은 유사물건과의 비교도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비해 약간의 오차는 있지만 큰 문제는 없는 것 같습니다.

혹시 그 물건의 가격보다는 전반적인 흐름이나 동향을 원하신다면 국토부보다는 kb부동산 시세조회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상가 시세조회'부동산 시세 조회 6
상가 시세조회'부동산 시세 조회 7